파워 부스터: 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한 여성들에 대해 알아보다
최근 The New York Times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다. 기존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위주로 이루어지던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HRT: Hormone Replacement Therapy)에서 테스토스테론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여성들에게 테스토스테론을 투여한다는 얘기다.
대학생 때 이탈리아인 리코가 자신의 시칠리아의 고향집은 바닥재가 돌이라 춥다고 설명하던 중, “추워죽겠는데 엄마가 덥다고 자꾸 창문을 연다”라고 덧붙인게 아직도 뇌리에 남아있다. 아들만 있는 여성이라면 폐경기가 도래했을 때 공감과 돌봄을 받기 어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코의 어머니가 더위를 호소한 것은 폐경이행기 증상이다. 폐경기에 근접할 수록 난소에서 생성하는 에스트로겐이 점점 감소하다가 결국 급감한다. 에스트로겐은 성호르몬이지만, 시상하부에서 체온 조절에도 관여하고 관절 연골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부족해지면 열감(hot flashes)과 골다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성욕 감소, 기분 변화도 수반된다.

이러한 폐경기 증세를 완화하기 위해 HRT(Hormone Replacement Therapy, 호르몬 대체 요법)가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에스트로겐만 단독으로 투여할 경우 자궁내막이 두꺼워져서 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자궁내막 성장을 억제해주는 프로게스테론을 함께 사용한다.
그런데 여자도 테스토스테론이 있고, 남자도 에스트로겐이 있다. 청소년기엔 남녀 호르몬 구성에 큰 차이가 없다가, 2차성징을 겪으면서 남성은 여성의 30배가 넘는 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해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평균적으로 여성의 10배-20배의 테스토스테론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남자의 호르몬 변화는 점진적이어서, 여성의 폐경 증상과 같은 불편함이 덜한 편이다.
아래는 여성 및 남성의 시기별 에스트로겐 수치 변화 테이블(Mayo Clinic의 자료), 연령대별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 변화를 보여주는 차트다.



남성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자연스럽게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에스트로겐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때 큰소리치며 살았으나 전세가 역전되어 매일 구박받는 할아버지, 혹은 눈물이 많아진 중년의 아버지 같은 원형을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는 것도 과학적 근거가 있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