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속어 제대로 쓰기: F**K
"F**k", 쓸 거면 잘 알고 쓰자
“Fuck”은 다재다능한 단어다.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까지 다 된다. 심지어 단어 한가운데 끼워 넣는 infix 용법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fuck을 맥락 없이 남발하거나, 어색하게 붙여 쓰는 경우를 보면 상당히 불편하게 들린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상황·감정·톤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fuck의 다양한 용례를 형태별로 살펴본다. 핵심은 하나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만큼만. 그리고 당연히 공식 석상에서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1. 동사 (Verb)
a) 망치다 / 엉망으로 만들다
- “I fucked up.” (망했다, 큰 실수했다)
- “The printer is fucked.” (프린터 망가졌다)
- “Don’t fuck it up.” (망치지 마라)
b) 괴롭히다 / 속이다
- “He fucked me over.” (날 엿먹였다, 배신했다)
- “Stop fucking with me.” (그만 놀려/건드려)
- “The weather really fucked us today.” (날씨 때문에 망했다)
2. 명사 (Noun)
a) 멍청이 / 재수 없는 놈
- “He’s such a fucker.” (재수 없는 놈)
- “You lucky fuck.” (친한 사이 장난스럽게: 이 재수 좋은 놈아)
b) 관심
- I don’t give a fuck. (전혀 신경 안 쓴다)
- “I don’t give a fuck what they think.”
- not give a fuck about ~ (~에 대해 아무 관심 없음)
- “He doesn’t give a fuck about the rules.”
- Zero fucks given. (아무 관심 없음)
- “Today’s mood: zero fucks given.”

3. 형용사 (Adjective)
- “This is a fucked situation.” (엉망진창 상황)
- “He looks fucked.” (완전 지쳐 보인다 / 맛 갔다)
- “That’s fucked up.” (기괴하다, 너무 나쁘다)
4. 부사 / 강조 (Adverb / Intensifier)
a) 강도 강조 (긍정·부정 둘 다 가능)
- “That’s fucking amazing.” (멋지다)
- “This is fucking stupid.” (멍청하다)
- “I’m so fucking tired.” (피곤하다)
b) 명령·금지 강화
- “Don’t fucking move.” (절대 움직이지 마)
여기서 fucking은 강조 부사(intensifier) 역할을 한다.
과격하게 들리므로, freakin’ / friggin’ / effin’ 같은 완곡한 대체어로 바꿔 쓸 수 있다.
- “That’s freakin’ amazing.” (와, 진짜 멋지다)
- “I’m so freaking tired.” (나 완전 피곤해)
- “Are you effin' kidding me?” (장난하니?)
5. 강조 삽입 / Emphatic Insertion
동사구, 명령문, 관용표현 속에서 힘을 실어주는 역할. 부사처럼 문법적으로 수식하지 않고, 강도·분노·명령의 톤을 강화한다.
명령문
동사 + (the fuck) + 부사/전치사
- “Shut the fuck up.” (닥쳐, 입 다물어)
- “Get the fuck out.” (꺼져, 나가)
- “Sit the fuck down.” (앉아, 당장)
- “Calm the fuck down.” (진정해)
- “Slow the fuck down.” (속도 좀 줄여)
- “Hurry the fuck up.” (빨리 좀 해)
- “Move the fuck around.” (좀 움직여)
의문문
의문사 + the fuck + 주어/동사
- “Who the fuck are you?” (도대체 넌 누구야?)
- “Where the fuck have you been?” (어디 갔다 온 거야?)
- “What the fuck is this?” (이게 뭐야, 어이없다)
6. 감탄사 (Interjection)
- “Fuck!” (아 씨X! 놀람·분노·실수 반응)
- “Oh, for fuck’s sake!” (아 젠장, 진짜 짜증난다)
- “Fuck yeah!” (좋다, 신난다)
- “Fuck no!” (절대 안 돼)
7. 삽입(infix)
단어 중간에 끼워 넣는 독특한 용법. 구어체에서 사용되지만, 아직 유창하지 않다면 사용을 자제하자.
- “Abso-fucking-lutely.” (당연하지, 100%)
- “Un-fucking-believable.” (말도 안 돼)
- “Fan-fucking-tastic.” (끝내준다)
7. 고정구 / 관용표현
- for fuck’s sake: 제발 좀, 아 진짜 → “For fuck’s sake, hurry up.”
- not give a fuck: 신경 안 씀 → “I don’t give a fuck.”
- fuck-all: nothing이라는 뜻 → “He knows fuck-all about it.”, “You've done fuck all today”
- fuck around: 농땡이치다 / 대충하다 → “Stop fucking around and focus.”
- fuck off: 꺼져 → “Fuck off, I’m busy.”
- fuck with: 놀리다/건드리다 → “Don’t fuck with me.”
- fucked up: 상태가 망가진 / 정신적으로 꼬인 → “That movie was fucked up.”
8. 밈 (Meme Variants)
(a) WTF
- what the fuck의 줄임말.
- 가장 널리 쓰이는 인터넷 슬랭, 문자·채팅에서 기본.
- 예시:
- “WTF?! My code just disappeared.”
- “WTF is going on here?”
(b) Da fuq / Dafuq / Dafug
- what the fuck을 발음대로 철자 변형.
- 예시:
- “Da fuq did I just watch?” (지금 뭘 본 거야?)

(c) TF?
- the fuck?의 축약.
- “뭔 개소리야?” “뭐라고?”.
- 예시:
- “tf you mean?” (뭔 말이야?)
- “where tf are you?” (너 어디야?)
(d) Zero fucks given (ZFG)
- “신경 1도 안 씀”이라는 뜻의 밈.
- 예시:
- “Exam tomorrow. Zero fucks given.”
맺음말
적절한 비속어 사용을 통해 언어에 생기를 주고자 한다면,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한다. 학습자라면 실제 원어민이 어떤 맥락과 어조에서 이 단어를 쓰는지를 먼저 관찰하고,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