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 숫자 배우기
좌절감을 유발하는 아랍어 숫자
아랍어 문자를 간신히 익혔다고 안심할 틈도 없이, 숫자는 아랍어 학습 여정에서 눈물이 자는 수많은 관문 중 하나다.
머릿속에는 “굳이 왜…?”라는 질문이 수없이 맴돌고, “중동의 초등학생들도 이걸 다 배운다고…?” 하는 의문이 뒤따른다. 그러다 보면, 마치 중세 서구 사회의 상류층이 문자를 독점했던 것처럼,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극악스러운 학습 장벽을 세운 것이 아닌가 하는 음모론적인 생각마저 들 정도다.
숫자 | 아랍어 (숫자) | 아랍어 (단어) | 발음 (로마자) | 한국어 |
---|---|---|---|---|
1 | ١ | وَاحِد | wāḥid | 하나 (남) |
2 | ٢ | اثْنَان | ithnān | 둘 (남) |
3 | ٣ | ثَلَاثَة | thalātha | 셋 |
4 | ٤ | أَرْبَعَة | arbaʿa | 넷 |
5 | ٥ | خَمْسَة | khamsa | 다섯 |
6 | ٦ | سِتَّة | sitta | 여섯 |
7 | ٧ | سَبْعَة | sabʿa | 일곱 |
8 | ٨ | ثَمَانِيَة | thamāniya | 여덟 |
9 | ٩ | تِسْعَة | tisʿa | 아홉 |
10 | ١٠ | عَشَرَة | ʿashara | 열 |
11 | ١١ | أَحَدَ عَشَر | aḥada ʿashar | 열하나 (남) |
12 | ١٢ | اثْنَا عَشَر | ithnā ʿashar | 열둘 (남) |
13 | ١٣ | ثَلاثةَ عَشَر | thalāthata ʿashar | 열셋 |
14 | ١٤ | أَرْبَعَةَ عَشَر | arbaʿata ʿashar | 열넷 |
15 | ١٥ | خَمْسَةَ عَشَر | khamsata ʿashar | 열다섯 |
16 | ١٦ | سِتَّةَ عَشَر | sittata ʿashar | 열여섯 |
17 | ١٧ | سَبْعَةَ عَشَر | sabʿata ʿashar | 열일곱 |
18 | ١٨ | ثَمَانِيَةَ عَشَر | thamāniyata ʿashar | 열여덟 |
19 | ١٩ | تِسْعَةَ عَشَر | tisʿata ʿashar | 열아홉 |
20 | ٢٠ | عِشْرُونَ | ʿishrūn | 스물 |
아랍어 숫자 체계
이쯤되면 10진법을 써서 감사할 정도다. 숫자 생긴 것도 너무 낯설다. (٠١٢٣٤٥٦٧٨٩)
게다가 문자는 오른쪽→왼쪽으로 쓰는데 숫자는 왼쪽→오른쪽으로 쓴다.
20 이상에서는 보통 ‘و’ (그리고) 를 붙여 연결한다.
1과 2
- 아랍어에서 1 (وَاحِد / وَاحِدَة), 2 (اثْنَان / اثْنَتَان) 은 반드시 명사 뒤에 위치한다.
- 명사의 성별(남성/여성) 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 2 뒤에 오는 명사는 모양도 변한다. 격에 따라서도 모양이 변한다.
예시:
- رَجُلٌ وَاحِد → 한 남자
- امْرَأةٌ وَاحِدَة → 한 여자
- رَجُلانِ اثْنَان → 두 남자
- امْرَأتَانِ اثْنَتَان → 두 여자
숫자 1과 2만 명사 뒤에 오고, 나머지 숫자는 명사 앞에 온다.
3–9
- 3부터는 명사 앞에 온다.
- 명사는 복수 형태(보통 속격)로 바뀐다.
- 숫자의 성별이 명사의 성별과 반대가 된다. 속격은 Genitive, 독일어에서는 소유격에 해당한다.
예시:
- أَرْبَعَة رِجَال → 네 명의 남자
- خَمْس زَوْجَات → 다섯 명의 아내
- سَبْعَة مُدَرِّسِين → 일곱 명의 남자 교사
- سَبْع مُدَرِّسَات → 일곱 명의 여자 교사
10
- 단독으로 쓰이거나 다른 숫자(1–9)와 합쳐 쓸 수 있다.
- 성별 반대 규칙 적용. 왜냐고 묻지 말자. 그리고 (عشرة)의 ش 발음이 남성 명사 앞에서는 Fathah (a), 여성 명사 앞에서는 Sukūn이 된다.
예시:
- عَشَرَةُ رِجَالٍ → 열 명의 남자
- عَشْرُة نِسَاءٍ → 열 명의 여자
11–12
- 두 부분 모두 명사의 성별과 일치해야 하며, 명사는 단수 대격 형태다. 왜 단수인지 고민을 하면 안 된다. 이게 초반에 많이 헷갈리는 포인트다.
- 11의 경우 أحَدَ 와 إحْدى (남성형과 여성형) 둘 다 감사하게도 격변화가 없다.
- 아랍어는 숫자에 격이 지정되어 있으면서, 문장 안에서 쓰일 때는 또 다시 격을 따져야 한다. 논리와 규칙을 원하는 뇌의 회로를 일시 차단하는 것을 추천한다.
예시
- إِحْدَى عَشْرَةَ طَالِبَةً → 열 한명의 여자
- اثنا عشر رجلاً →열 두명의 남자
13–19
- 첫 부분은 성별 반대, 두 번째 부분은 성별 일치. 이게 말이 되는가?
- 명사는 단수 대격이다.
예시:
- خَمْسَةَ عَشَرَ طَالِبًا → 15명의 남학생
- خَمْسَ عَشْرَةَ طَالِبةً → 15명의 여학생
생활 속 아랍어 숫자 예시
택시 안에서
공항까지 얼마나 먼가요?
5km
Q: كم يبعد المطار؟
A: خمسة كيلومترات – ٥ كيلومترات
가격이 얼마에요?
9 리얄
Q: كَمِ السِّعْر؟
A: تسعة ريالات – ٩ ريالات
시장에서
사과 얼마나 사실래요?
1kg
Q: كَمْ تُفَّاحًا تُرِيدُ شِرَاءَه؟
A: كِيلُوجِرَامًا وَحِدًا – ١ كيلوجرام
가격이 얼마에요?
20 리얄
Q: كم السعر؟
A: عِشْرُونَ رِيَالًا – ٢٠ ريالا
사칙연산 예시
- 1+1=2 → وَاحِد زَائِد وَاحِد يُسَاوِي اثْنَيْن
- 3–1=2 → ثَلَاثَة نَاقِص وَاحِد يُسَاوِي اثْنَيْن
- 2×1=2 → اثْنَيْن في وَاحِد يُسَاوِي اثْنَيْن
- 2÷1=2 → اثْنَيْن على وَاحِد يُسَاوِي اثْنَيْن